바로가기 메뉴
본문 바로가기
푸터 바로가기
TOP

 

교수진

이선우 교수 (운영위원)

Seon U Lee

전공불어불문학과
주소인문대학 7동 430호
연락처02-880-6118
이메일rohmer@snu.ac.kr

[소속 및 직위]

  불어불문학과 조교수

 

[연구 분야]

  영화 이론, 영화사, 프랑스 영화

 

[학력]

  2005.02 서울대학교 불어불문학과 졸업

  2008.02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영상예술학과(영화이론) 석사

  2011.09 파리3대학 영화영상학과 석사

  2017.07 파리10대학 공연예술(영화) 박사

 

[이력]

  2018.07 한국영상자료원 <영화와 공간: 파리> 프로그램 특강

  2019.09-2021.02 아주대학교 <영화의 세계>, <서양영화사>, <아시아영화의 이해> 강의

  2020.03-현재 한국방송통신대학교 <예술로 만나는 아프리카> 강의 공동 담당(매년 1학기 개설)

  2021.03-2024.02 성신여자대학교 프랑스어문·문화학과 조교수

  2023.03 한국영상자료원 기관지 제작 용역 기술평가위원

  2023.09-현재 한국방송통신대학교 <영화로 읽는 파리> 강의 공동 담당(매년 2학기 개설)

 

[연구실적]

  • 「아피찻퐁 위라세타쿤이 제시하는 영화의 확장 가능성: <열병의 방 Fever room>이 환기하는 것들」(2017, 『영화연구』)
  • 「에릭 로메르 영화에서의 공간의 의미: ‘도덕 이야기 Contes moraux’를 중심으로」(2018, 『프랑스문화예술연구』)
  • 「동시대 프랑스 영화에 재현된 이민자와 프랑스인의 관계 맺기 양상」(2018, 『프랑스문화연구』
  • 「2000년 이후 프랑스 영화에서 68세대를 회상하는 관점」(2019, 『프랑스문화예술연구』)
  • 「자크 오디아르의 <러스트 앤 본>에 나타난 몸과 권력의 관계」(2019, 『영화연구』)
  • 「미셸 공드리 작품에 재현된 ‘상상과 현실의 경계 넘나들기’」(2020, 『프랑스문화예술연구』)
  • 「독일 점령기에 대한 회상: 장-피에르 멜빌의 <바다의 침묵>과 <그림자 군단>을 중심으로」(2020, 『프랑스문화연구』)
  • 『영화로 읽는 프랑스 문화』(2021, 지성공간)
  • 「추방된 존재들을 향하는 카메라 : 왕빙 영화의 인물 연구」(2021, 『아시아영화연구』)
  • 「동시대 아프리카 영화 미학의 발견 : 압데라만 시사코의 <팀북투>를 중심으로」(2022, 『인문학연구』)
  • 「<투키 부키>(1973)와 <애틀란틱스>(2019)에 재현된 아프리카의 욕망」(2022, 『프랑스학연구』)
  • 『영화로 읽는 파리』(2023,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)
  • 「고다르의 로드 무비에 담긴 정치적 메시지: 〈미치광이 피에로〉(1965)와 〈주말〉(1967)을 중심으로」(2023, 『프랑스어권 문화예술연구』)
  • 「아프리카가 꿈꾸는 미래 – 아프로퓨처리즘 영화의 재현 양상에 대한 고찰」(2024, 『인문학연구』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