바로가기 메뉴
본문 바로가기
푸터 바로가기
TOP

 

교수진

임호준 교수 (전공주임)

Ho-joon Yim

전공서어서문학과
주소인문대학 3동 424호
연락처02-880-4096
이메일hojoon33@snu.ac.kr

[연구 분야]
스페인·포르투갈어권 영화, 영화이론, 문학과 영상(adaptation), 스페인 문학

 

[학력]
2004. 한국예술종합학교 영상원 예술전문사 (영화이론 전공)
2000. 스페인 마드리드대 문학 박사 (현대문학 전공)
1991. 스페인 마드리드대 문학 석사
1989.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서어서문학과 학사

 

[경력]
2025-현재. 영화영상학 연계전공 주임교수
2009-2020.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협동과정 비교문학전공 겸임교수
2009-현재.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서어서문학과 교수
2006-2008. 한국예술종합학교 영상원 영상제작센터 연구교수
2004-2006. 한국예술종합학교 영상원 영상이론과 강사

 

[영화 관련 연구실적]
–  저서
2017. 단독.즐거운 식인: 서구의 야만신화에 대한 라틴아메리카의 유쾌한 응수(민음사)

2013. 단독.스페인 영화: 작가주의 전통과 국가 정체성(문학과 지성사)
2007. 단독.시네마, 슬픈 대륙을 품다(현실문화연구)
2003. 공저.유럽 영화 예술(한울미디어)

 

–  논문·북챕터 및 기타

2024. 「루이스 부뉴엘 영화 속 욕망의 궤적」. 서울대 인문대학 편. 󰡔욕망에 대하여󰡕. pp.251-274. 

2020. 「스페인적 미학: 카를로스 사우라 감독」. 월간 󰡔객석󰡕 7월호. pp.149-150.  

2017. “Nada es sencillo. La performatividad de la sexualidad y el género en Hable con ella”. Hispanic Research Journal. 18.1. pp.45-59. (A&HCI 급)

2017. “La Infancia como mito e historia en La lengua de las mariposas(1999) y Machuca(2003)”. Bulletin of Hispanic Studies. 94.2. pp.199-214.  (A&HCI 급)

2015. “La sintonización de la perspectiva política con su tiempo y género: adaptación cinematográfica de la novela Sodados de Salamina.” Confluencia: Revista Hispánica de Cultura y Literatura 31(1). Fall. pp.133-46. (A&HCI 급)  

2014. 「최근 한국과 스페인 영화에 나타난 전쟁의 기억과 재현: 신화화에 대한 고찰」.󰡔스페인어문학󰡕 72. pp.375-400. 

2013. 「한스 스타덴의 󰡔진실한 이야기󰡕(1554)에 대한 상이한 관점의 영화적 재현」.󰡔이베로아메리카 연구󰡕. 24. pp.35-61.

2010. 「위로부터의 관점: 미국감독의 국경영화에 있어 리얼리즘의 한계」. 󰡔스페인어문학󰡕. 54. pp.295-312. 

2010. 「카니발의 광장: 알모도바르 영화 속의 마드리드」.󰡔이베로아메리카󰡕.12.1. pp.349-374.

2009. 「작가주의와 정치성: 훌리오 메뎀 영화의 바스크성」. 󰡔이베로아메리카 연구󰡕. 20.2. pp. 110-139. 

2007. 「이베로아메리카 영화산업의 초국가적 연대양상」. 󰡔이베로아메리카 연구」. 18. pp. 181-203. 

2007. 「스크린에 투사된 슬픈 용모의 기사: 󰡔돈키호테󰡕의 영화화」. 󰡔스페인어문학󰡕. 48. pp.277-298. 

2006. 「세계화 시대 스페인 영화산업」. 󰡔스페인어문학󰡕 36. pp.313-333. 

2004. 「시대의식의 반영으로서 영화: 프랑코 사후 스페인 영화에서 내전의 재현 양상」. 󰡔스페인어문학󰡕 32. pp.243-260.

2004. 「세계화 시대 라틴아메리카 영화산업: 90년대 이후의 상황과 미래의 전망」. 󰡔라틴아메리카 연구󰡕. 17.3 pp.221-245. 

2003. 「퀴어이론의 관점에서 본 알모도바르 영화의 젠더와 섹슈얼리티」. 󰡔이베로아메리카 연구󰡕 14. pp. 217-239. 

2002. 「탈식민 사회에서 민족을 서술하기: 구띠에레스 알레아와 쿠바의 내셔널 시네마」. 󰡔라틴아메리카 연구󰡕 15,2. pp. 239-268.

2001. 「위기의 남성들: 새로운 스페인 영화와 내전의 트라우마」. 󰡔이베로아메리카 연구󰡕 12. pp.185-210.

2001. El tema del muchacho afeminado en el teatro y el cine españoles. Ojáncano: Revista de literatura española. 19.1. pp.55-71. 

2001. 「포스트모던 로칼리즘: 페드로 알모도바르 영화의 역사적, 사회적 배경」. 󰡔문학과 영상󰡕

2000. 「국가로서의 여성: 혁명 후 쿠바영화에서 페미니즘과 민족주의」. 󰡔이베로아메리카 연구󰡕. 10. pp.107-135. 

2000. 「전환기 사회의 영화에서 동성애 재현의 세가지 양상」. 󰡔문학과  영상󰡕1.2. pp.69-89 . 

 

[영화 관련 강연]

2024.8.4.     서울 아트시네마. <시네바캉스 서울-유령들의 밤>. 특별 강연. 

2023.4.29    서울 시립미술관. <이미지의 두께>. 특별 강연  

2022.6.18.   한국영상자료원. <아르헨티나 영화제>. 특별 강연 

2022.4.23.   서울 아트시네마. 「페드로 알모도바르 특별전」. 강연 

2018.11.      EUNIC 스페인 영화제. 「까마귀 기르기」 강연  

2015.10.9    제20회 부산 국제영화제. 「스페인 영화가 서 있는 곳」. 특별 세션 강연 

2015.8.27    제2회 사람 사는 세상 영화축제. “70년의 고독”. 「마추카」. 강연  

2013.10.27  제3회 브라질 영화제. 「엘리트 스쿼드 2」 강연.

2013.5.8.     제14회 전주국제영화제 특별강연「월드 시네마스케이프: 센트로 히스토리코」.

2012.9.15    제2회 브라질 영화제.「리냐 지 빠시」 강연.  

2012.4.29    제13회 전주 국제영화제. 「알베르 세라 특별전; 기사에게 경배를」. 오프스크린 강연

2011.9.26.   제1회 브라질 영화제. 「신들의 도시」. 강연

2008.12.21  서울 아트시네마. 「카를로스 사우라 특별전: 사촌 앙헬리카」. 강연